[경기도마을기록사업 1] 아흔아홉 골과 논에 이름이 있는 마을

아흔아홉
도서개요
  • 발행일
    2012.02.01
  • 발행처
    경기문화재연구원
  • 목차
    제1장 지도로 돌아보는 마을 구경
    1. 장작불에 이팝 먹는 마을
    2. 아흔아홉 골과 논 이름
    제2장 역사 속 용강리와 현재
    1. 역사적 변천사
    2. 오랜 성씨와 인물
    3. 마을의 현재 모습
    제3장 마을을 이끌어 가는 모임들
    1. 모든 주민들의 모임 – 대동회
    2. 마을 원로들의 모임 – 노인회
    3. 여성들의 모임 – 부녀회
    4. 상례를 담당하는 모임 – 상포계
    5. 청소년들의 교육의 장 – 4H클럽
    6. 마을 최고의 일꾼들의 모임 – 진농회
    7. 실향의 아픔을 함께하는 모임 – 강령포주민모임
    제4장 마을의 생태환경
    1. 가을걷이가 한창인 용강리
    2. 뱃사람들의 마을, 강령포
    3. 그물 가득 고기가 잡히던 강과 바다
    4. 삶에 보탬이 되는 산
    5. 안들에서 가꾸어 온 쌀과 밭작물
    6. 농기구와 생활도구
    제5장 맨드라미 꽃을 보고 시간을 알던 시절
    1. 그 시절의 세시풍속 : 봄·여름·가을·겨울
    제6장 마을사람들의 기원
    1. 용못고사
    2. 강령포 당제
    3. 가정고사
    제7장 마을사람들의 생애의례
    1. 시어머니가 산파 : 출산례
    2. 선도 못 보고 온 시집 : 혼례
    3. 다함께 대처한 죽음 : 상례·장례
    4. 조상의 은덕에 감사 : 제례
    제8장 마을사람들의 일상생활
    1. 집집마다 술 익는 향기 : 식생활
    2. 불 파마하고 오면 침을 퉤퉤퉤 : 의생활
    3. 안방이 제일 중요한 곳 : 주생활
    제9장 마을사람들의 여가생활
    1.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의 이야기들
    2. “어디 넘쳐 어허요” : 노랫소리
    3. “치군놀이” 구경 : 민속놀이
    제10장 내 살아온 내력과 마을이야기
    1. 내 살아온 내력
    2. 내가 쓰는 우리 마을이야기 (정유현/신상숙)
    제11장 용강리 마을의 문화자원
    1. 용강리 마을의 이런저런 자원들
    2. 농촌전통테마마을 – 매화미르마을
    3. 용강리 마을의 문화콘텐츠 활용
    부록 : 먼지락, 새마을, 용림말의 세 마을로 이루어진 용강리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