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탄: 남방실크로드 신화여행

남방실크로드
도서개요
  • 저자
    김선자,김현선,김혜정,홍윤희,나상진,권태효,심재관,최귀묵
  • 발행일
    2016.12.31
  • 발행처
    경기문화재단
  •  
    목 차
    01. 남방실크로드 : 신화의 길
    – ‘일대일로’와 ‘해상실크로드’ _017
    – 남방실크로드 _021
    – 남방실크로드의 세 갈래 길 _025
    – 남방실크로드, 교역 이상의 의미 _033
    – 개발과 보존의 딜레마를 넘어서_038

    02. 중국 윈난성 소수민족의 신화 세계
    – 윈난성 신화에 대한 접근방식 _045
    – 다수민족과 소수민족의 대립 _048
    –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남방실크로드 _054
    – 윈난성 소수민족들의 신화 _058
    – 나시족 서사시와 아이누 서사시의 비교 _066
    – 동아시아 소수민족 벼농사 기원신화, 그 확장과 변이 _072
    – 더불어 같이 하는 신화 공부_078

    03.중국 윈난성 소수민족 먀오족의 신화 세계
    – 우리의 <콩쥐팥쥐> 이야기와 먀오족의 <오러와 오도> 이야기 _089
    – 먀오족은 어떤 민족인가 _102
    – 먀오족의 창세신화 _104
    – <아페이꿔본> 신화의 의미 _112
    – <수탉이 태양을 부르다> _117
    – 먀오족의 창세신화와 우리의 창세신화 _120

    04.중국 쓰촨성 싼싱두이 유적과 신화
    – 남방실크로드의 기점 쓰촨성 _129
    – 싼싱두이 유적 발굴과 고촉 문명 _132
    – 고촉국 왕들의 신화 _139
    – 싼싱두이 유물과 신화 _145
    – 문명교류로 보는 황금가면 _155

    05.중국 윈난성 소수민족 와족의 신화 세계
    – 아와산의 원시부족, 와족 _165
    – 와족의 창세서사시 <쓰강리> _167
    – 와족의 인류기원 신화 _169
    – 와족의 곡물신화 _177
    – 와족의 북에 대한 신앙과 ‘나무 북 끌기’ _181
    – 와족의 머리사냥과 솔발무 _185
    – 와족의 곡물 관련 신앙의 인문학적 의미 _190

    06.중국 윈난성 소수민족 이족의 신화 세계
    – 이족의 제의와 축제 _204
    – 이족의 신화 자료 _217
    – 이족 신화의 특징 _225

    07.중국 윈난성 소수민족 바이족의 신화 세계
    – 윈난성 다리와 바이족의 역사 _237
    – 바이족의 본주신앙 _242
    – 대표적인 본주들 _248
    – 대흑천신 이야기 _253
    – 바이족의 창세신화 _256

    08.인도, 인도네시아의 신화 세계 : 남방실크로드와 관련하여
    – 여행하는 신화 _267
    – <라마야나> 줄거리 _269
    – <라마야나>의 전승 _283
    – <선녀와 나무꾼>의 동남아판 <마노하라> 이야기 _286

    09.베트남 소수민족의 신화 세계
    – 베트남이란 어떤 나라인가 _297
    – 베트남 소수민족의 역사와 신화 전승의 의미 _300
    – 에데족의 영웅서사시 <담 산> _307
    – 므엉족의 창세서사시 <땅과 물의 기원> _323
    – 소수민족 신화 전승의 의의 _328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