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옛길 의주길 생태문화자원 기초조사 연구

생태문화자원1
도서개요
  • 발행일
    2017.07.07
  • 발행처
    경기문화재단
  • 목차
    <제1부 연구 개요>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1
    1. 연구의 필요성과 배경 / 21
    2. 연구의 목적 / 22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3
    1. 연구의 개요 / 23
    2. 연구의 세부내용 / 23
    3. 연구의 방법과 방향 / 25
    4. 연구조사 프로세스 / 26
    5. 연구추진 일정 / 27
    6. 연구추진 경과 / 28

    <제2부 생태자원 기초조사>
    1 제1길 벽제관길 ……………………………………… 37
    1. 일반현황 / 37
    2. 생태문화자원 / 39
    2 제2길 고양관청길 ……………………………………… 47
    1. 일반현황 / 47
    2. 생태문화자원 / 49
    3 제3길 쌍미륵길 ……………………………………… 57
    1. 일반현황 / 57
    2. 생태문화자원 / 59
    4 제4길 파주고을길 ……………………………………… 65
    1. 일반현황 / 65
    2. 생태문화자원 / 67
    5 제5길 임진나루길 ……………………………………… 79
    1. 일반현황 / 79
    2. 생태문화자원 / 81

    <제3부 종합분석 및 제안>
    1 현장조사분석 ……………………………………. 91
    1. 생태자원분석 / 91
    2. 일반현황조사 분석 / 94
    2 종합분석 및 제안 ……………………………………. 97
    1. 종합분석 / 97
    2. 제안과 예시 / 98

    <제4부 생태알림판 기획안>
    1 제1길 벽제관길 ……………………………………. 105
    1. 은행나무 / 105
    2. 버즘나무(플라타너스) 가로수 / 106
    3. 소나무 / 107
    4. 미루나무 / 108
    5. 고양동 버즘나무(플라타너스) 가로수 / 109
    6. 참죽나무 / 110
    7. 아까시나무 / 111
    8. 느티나무 / 112
    9. 향나무 / 113
    10. 개오동나무 / 114
    2 제2길 고양관청길 ……………………………………. 115
    1. 은행나무 / 115
    2. 뽕나무 / 116
    3. 잣나무 / 117
    4. 갈참나무 / 118
    5. 동헌로 소나무 / 119
    6. 상수리나무 / 120
    7. 감나무 / 121
    8. 귀룽나무 / 122
    3 제3길 쌍미륵길 ……………………………………. 123
    1. 살구나무 / 123
    2. 미루나무 / 124
    3. 밤나무 / 125
    4. 벚나무가로수 / 126
    5. 느티나무 / 127
    4 제4길 파주고을길 ……………………………………. 128
    1. 버드나무 / 128
    2. 상수리나무 / 129
    3. 버즘나무(플라타너스) / 130
    4. 은행나무 / 131
    5. 회화나무 / 132
    6. 느티나무 / 133
    7. 은행나무 / 134
    5 제5길 임진나루길 ……………………………………. 135
    1. 은행나무 / 135
    2. 밤나무 / 136
    3. 화석정 느티나무 / 137
    4. 향나무 / 138
    5. 장산리/마정리 밤나무 / 139
    6. 마정리 느티나무 / 140
    7. 자유의다리 뽕나무 / 141

    <제5부 후속과제와 발전방안>
    1 후속과제와 발전방안 ……………………………………. 145
    1. 기본 방향과 체계 / 145
    2. 걷는 길 인프라 / 146
    3. 걷는 길 프로그램 / 146
    4. 걷기 전문가 및 지도자 / 147
    5. 걷기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 / 148

    ■ 참고문헌 및 자료 ………………………………………….. 149

    ※ 이 보고서 내용의 모든 저작권은 경기문화재단에 있습니다. 이 보고서에 담긴 내용 및 자료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문서를 통한 허가 없이 무단 복사 또는 전재할 수 없습니다    

콘텐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