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문화재단 생활문화 정책연구 Ⅰ – 경기도 생활문화지표를 위한 정책 및 측정틀 연구
문서류 개요
-
- 카테고리
- 학술자료
-
- 언어
-
한국어
-
- 생산등록일
- 2016.10.25
문서류 내용
-
목 차여는 글
지표로 일상의 여백을 말하다 8
1부. 생활문화의 이해
1. 생활문화 선행연구 12
2. 생활문화 정책의 흐름 15
2-1. 문화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15
2-2. 생활문화의 법적 정의 16
2-3. 지역 문화산업과 생활문화 정책의 관계 18
3. 생활문화 활동의 특징 20
3-1. 놀이성과 여가시간의 활용 21
3-2. 공동체 활동 26
2부. 경기문화재단 생활문화 정책 방향
1. 경기도 생활문화 현황 30
1-1. 경기도 주요문화시설 및 생활문화 사업 30
1-2. 경기도민의 생활문화 33
2. 일선에서 체감하는 생활문화 개념 37
2-1. 라운드테이블 진행 과정 37
2-2. 생활문화 관련 주요 키워드 37
2-3. 라운드테이블 시사점 39
3. 경기문화재단 포지셔닝 42
3-1. 생활문화의 내용적 접근 42
3-2. 생활문화 사업 주체 관계망 45
3-3. 생활문화지표 관련 경기문화재단의 역할 범주 49
3부. 경기문화재단 생활문화지표
1. 지표를 만드는 관점 54
1-1. 생활문화 생태계적 관점 54
1-2. 지역 자율성을 위한 현실적 방법론 57
2. 지표 평가 방법과 환류 시스템 59
2-1. 혼합식 지표개발 적용 59
2-2. 참여형 정책 및 지표개발 사례 60
3. 생활문화지표 측정틀 66
4. 자율적 활용 방안 71
부록
1. 주요 참조개념 77
1-1. 기존 정책지표 77
1-2. 놀이성 (playfulness) 85
1-3. 문화역량과 문화적 리터러시 88
1-4. 사회통합 (social cohesion) 93
1-5. 주관적 삶의 질 96
2. 주요 참고문헌 101
3. 자문의견 103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