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박물관

6․25전쟁 정전협정 70주년 맞아 한반도 비무장지대(DMZ) 특별전 7월 26일 개막

2023.08.25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510

625전쟁 정전협정 70주년 맞아

한반도 비무장지대(DMZ) 특별전 726일 개막

 

경기도박물관 특별전, 두 얼굴의 평화, DMZ1015일까지 전시

한반도 비무장지대 실태조사결과와 625전쟁 전사자 유품 등 600여 점 전시

▶ 전시기간 중 전문가 학술포럼 1회, 전시연계 특강 4회 진행

역사는 모두가 결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알았던 전쟁들로 어지럽다

- 이녹 파웰(Enoch Powell, 1912-1998, 영국 정치가) -

이처럼 아름답고 목가적인 곳에 이러한 군사적 긴장과 정치적 대립이 존재하다니,

마치 내가 한 편의 부조리극이 공연되는 극장에 와 있는 듯하다.”

- 귄터 그라스(Gunter Wilhelm Grass, 1927-2015, 독일 소설가) -

2002년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3초소 안에서

전쟁은 인간의 마음속에서 생기는 것이므로

평화의 방벽을 세워야 할 곳도 인간의 마음속이다.”

- 유네스코(UNESCO,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 헌장 부분 -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박물관(관장 김기섭)은 6․25전쟁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두 얼굴의 평화, DMZ》 특별전을 26일 개막한다. 1953년 7월 27일 경기도 북부의 판문점에서 정전협정이 체결된 것을 기념하여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남침으로 시작된 6․25전쟁의 참상과 정전협정, 그리고 정전협정의 결과로 만들어진 비무장지대(DMZ)에 대해 조명해보는 특별기획전이다.

전시는 지난 2020~2021년 문화재청․경기도․강원도가 합동으로 진행한 ‘한반도 비무장지대 실태조사’ 성과와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비무장지대 내에서 발굴․수습한 영웅들의 유품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제1부 ‘끝나지 않은 전쟁’, 제2부 ‘두 얼굴의 DMZ’, 제3부 ‘내일을 위한 기억’, 제4부 ‘DMZ 실태조사 성과 순회사진전’ 등 네 부분으로 나눠 연출하였다.

제1부 ‘끝나지 않은 전쟁’에서는 6․25전쟁과 정전협정을 다룬다. 6․25전쟁에서 사용한 대표적인 무기인 M1 소총과 이른바 ‘따발총’이라고 불리우는 소련제 슈파긴 기관 단총 등을 전시한다. 전쟁 때 뿌려진 아군과 적군의 삐라, 유엔군이 돌아갈 때 기념으로 가져간 아리랑스카프 등도 전시한다. 또한 일반에 잘 알려지지 않은 정전협정 본문(복제본)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원래 정전협정서에는 유엔군 대표와 북한군․중공군 대표들이 서명하였으므로 정전협정서 원본은 미국과 중국 북한에 있고 한국에는 원본이 없다.

제2부 ‘두 얼굴의 DMZ’에서는 비무장지대의 안보․역사유적 및 생태환경을 다룬다.

1953년 7월 유엔군과 공산군이 정전협정문 제1조를 통해 군사분계선으로부터 남쪽과 북쪽으로 각각 2km씩 후퇴한 지점까지 설정된 비무장지대(DMZ)는 지금껏 남과 북의 군인들이 대치하는 ‘중무장지대’이자 인간의 발길이 닿지 않아 자연생태계가 회복되어가는 공간으로 남아있다.

2020년 5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2년 여 동안 문화재청과 경기도, 강원도의 산하 기관인 국립문화재연구원, 경기문화재연구원, 강원문화재연구소의 고고․역사․문화․생태 등 각 분야 전문인력 100여 명을 투입하여 정전 이후 최초로 진행한 ‘한반도 비무장지대 실태조사’ 결과의 내용을 선보인다. 또한 ‘철의 삼각지대’라 불리우는 철원의 화살머리고지와 백마고지 전투의 전사자 6분의 유품이 전시된다. 백마고지에서 전사한 고 편귀만 하사의 유품인 만년필과 ‘전사자신원확인통지서’, ‘호국영웅패’와 유해를 감쌌던 태극기가 든 상자 등도 전시한다.

제3부 ‘내일을 위한 기억’에서는 6․25전쟁에 전투부대와 의료지원을 해준 국제연합군의 22개 국가의 희생을 기억하는 국내의 기념비를 소개한다. 또한 70년 전의 정전협정 지도를 통해 그 안에 있었던 사라진 마을과 문화유산에 대한 정보도 전시한다. 비무장지대가 탄생하면서 사라진 마을은 총 2개 도, 9개 군, 35개 면, 116개 행정리와 401개의 부속마을이다. 여기에 2015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 된 KBS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전쟁․분단․이산의 아픔을 노래한 대중가요, 전쟁을 다룬 영화, 판문점과 비무장지대를 기록한 사진집, 다시 가 보고 싶은 ‘그리운 금강산’ 관련 유물과 자료, 비무장지대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실태조사 자료 등도 전시한다.

제4부는 ‘DMZ 실태조사 성과 순회사진전’이다. DMZ 실태조사 때 촬영한 가장 최근의 사진들을 경기도박물관 갤러리에서 따로 전시한다. 실태조사 사진 외에도 2009년 국방부 의뢰로 최초로 휴전 이후 비무장지대 기록 사진을 촬영한 박종우 작가의 다큐멘터리 사진도 있다. 비무장지대는 일반인의 출입이 허용되지 않는 ‘금단의 땅’이다. 이 사진들을 통해 70년간 잘 알려지지 않았던 비무장지대 안의 감시초소와 전방을 수색하는 병사들의 모습, 그 곳에 서식하는 식물과 조류, 포유류 등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전시 기간 중에는 정전협정 70주년 학술포럼과 전시연계 전문가 특강 등 다양한 행사도 개최한다. 전시연계 프로그램으로는 통일부가 제작한 ‘DMZ 메타버스, 사라진 마을’이 상설되어 있다. 6.25전쟁 이전 DMZ에 있었던 400여 개의 마을 중에서 연천 고랑포리․항동리, 철원 외촌리․유정리, 양구 문등리, 고성 대강리․사비리 등 큰 규모의 마을을 메타버스로 구현한 프로그램이다. 문헌과 생존 주민들의 실제 경험을 토대로 1940년대 배경의 사라진 마을을 게임과 미션을 통해 당시 주민생활을 체험해볼 수 있다.

비무장지대의 아름다운 자연 풍경 아래에는 남과 북의 군사적 갈등과 전쟁의 잔해, 그리고 선사시대부터 있었던 선인들의 삶의 흔적이 남아 있다. 박물관 관계자는 “비무장지대 땅 밑에 지뢰와 폭탄이 숨어있고 전사자의 유해와 유품, 문화유적과 사라진 마을들이 여전히 남아있다.”면서 “이들을 무심히 덮고 회복해가는 자연생태계의 모습을 통해 DMZ의 내일, 한반도의 평화를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시 개요

○ 전 시 명 : 625전쟁 정전 70주년 특별전 두 얼굴의 평화, DMZ

○ 전시기간 : 2023.7.26(수) ~ 2023.10.15.(일)

○ 전시장소 : 경기도박물관 기획전시실, 지하1층 갤러리

○ 전시유물 : 비무장지대 내 수습 유물과 전사자 유품, 실태조사 사진 등 500여점

○ 전시내용 : 한반도 비무장지대(DMZ)의 역사와 현재, 미래

- 1부: 끝나지 않은 전쟁(625전쟁의 전개 과정과 정전협정)

- 2부: 두 얼굴의 DMZ(한반도 비무장지대 실태조사 결과와 고지전 전사자 유품 전시)

- 3부: 내일을 위한 기억(DMZ 내 사라진 마을과 근대문화유산, 영화와 음악 등)

- 4부: 한반도 DMZ 실태조사 사진전(파주-연천-양구-고성을 이어 5번째 순회전)

○ 주관 : 경기도박물관, 경기문화재연구원

○ 주최 : 문화재청, 경기도, 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원, 경기문화재단, 강원문화재연구소

○ 유물 및 작품 대여․자료제공

강원문화재연구소, 국가기록원, 국가보훈부,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민속박물관, 국립6․25전쟁납북자기념관,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국방TV,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문화재청, 서울역사박물관, 속초시립박물관, 유엔평화기념관, 전쟁기념관, 통일부, 파주시청, DMZ박물관, NARA(미국 국립문서기록보관청), KBS, 박종우, 이이남

 

전시 연계 프로그램

정전협정 70주년 학술포럼 : 경기도박물관 강당, 7/27() 15:00

연자

주제

소속 및 직위

정대진

정전협정 70주년의 의미

한라대학교 글로벌비지니스학부 교수

박필환

군의 관점에서 보는 DMZ 실태조사

한미연합군사령부 대령(예비역)

윤지희라

DMZ 내 땅굴의 불편유산으로서의

가치와 종전 후 활용방안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전시연계특강(4) : 경기도박물관 강당

일자

주제

강사

소속 및 직위

8.09(수), 15:00

비무장지대의 문화유적 현황과 조사성과

황보경

세종대학교 교수

8.23(수), 15:00

DMZ 내 사라진 마을과 근대문화유산

김창환

강원대학교 교수

9.06(수), 15:00

한반도 비무장지대의 실태조사와 세계유산적 가치

노현균

경기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팀장

9.20(수), 15:00

정전협정과 비무장지대

조성훈

한국당대사연구소 소장

 

 

전시 연계 교육프로그램 및 전시해설

○ DMZ 메타버스 : 사라진 마을

6.25전쟁 이전 DMZ에는 400여 개의 마을이 존재했다. 그 중 연천군 고랑포리․항동리, 철원군 외촌리․유정리, 양구군 문등리, 고성군 대강리․사비리 등 큰 규모의 마을을 우선 조사했다. 해당지역과 관련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당시 마을위치와 특성을 확인하고, 생존 주민과의 면담을 통해 문화와 추억을 모았으며, 현지 방문을 통해 이를 확인해 메타버스를 구현했다. 문헌과 생존 주민들의 실제 경험을 통해 만든 만큼 당시의 분위기를 엿볼 수 있을 정도로 생생하게 구현된 1940년대 배경의 사라진 마을을 게임과 미션을 통해 당시 주민생활을 체험해보자.

○ 어린이 전시 체험지

○ 도슨트 전시 해설 : 1일 3회(11시, 13:30, 15시)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는 조약이나 협정에 의해 부장이 금지된 완충지대이다. 무력충돌을 방지하거나 국제적인 교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이 지역에서는 군대 주둔, 무기 배치, 군사시설 설치가 금지된다.

한반도 비무장지대는 1953년 7월 27일 유엔군과 북한군, 중국군이 한국전쟁에 대한 정전협정 체결시 설정되었다. 정전협정 지도에 표기된 비무장지대 영역 내 서쪽의 임진강부터 동해안까지의 구간에 1,292개 군사분계선(MDL, Military Demarcation Line) 표식물이 설치되었으며, 그로부터 남북 각 2km 구간이 비무장지대로 설정되어 유지되고 있다. 군사분계선의 길이 총 241km, 남북 길이 4km 영역을 면적으로 환산하면 964㎢이다. 한반도 면적의 0.4% 정도에 해당한다. 비무장지대의 경계는 남방한계선(SBL, Southern Boundary Line)과 북방한계선(NBL, Northern Boundary Line)이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